Re new
전문가 칼럼
빅테크의 시대
달라진 금융과 대응
글 이임복
지금 주머니와 지갑에 지폐 혹은 동전이
들어있는가?
언제부턴가 지폐를 보는 건 힘들고 동전을 만나기는 더 어려워졌다. 가끔 10원짜리 동전이 서랍에서 발견되면 놀라울 정도다. 이제 지폐와 동전의 쓰임은 명절 때나 되어서야 아이들에게 용돈 주는 정도가 됐다. 아이들은 어떨까? 예전에는 너무 많은 용돈을 받으면 부모님들이 대신 저금해 주는 경우가 많았다. 나머지 돈은 손에
꼭 쥐고 가게로 달려가서 과자를 사먹기도 했는데 이 역시 달라졌다.진다. 여기서는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 꼭 생각해 봐야 할 3가지 리스크를 정리해 본다.
아이들은 용돈을 쥐고 편의점으로 달려간다. 그리고 자신의 토스머니에 충전한다. 대부분의 편의점에서는 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충전한 돈의 소비처는 간식을 사먹기도 하지만 게임 아이템을 사는 데 쓰이기도 한다. 어차피 현금을 머니로 바꿔야 하기에 처음부터 부모들에게 현금을 맡기고 충전을 요청하기도 한다. 세상이 달라졌다.
어렸을 적 지갑에 두툼하게 돈이 들어있는 걸 부자라 생각했던 사람들이라면 이제 아이들은 모니터 속 전자지갑의 0이라는 숫자가 몇 개인가가 더 중요해졌다는 걸 이해해야 한다. 변하지 않는 건 이런 ‘돈’을 관리하는 곳이다. 중심에는 오래도록 우리의 곁을 지켜온 은행과 같은 ‘레거시 금융’이 있고, 새롭게 등장해 세상을 바꾸고 있는 ‘빅테크 금융’이 있다.

글쓴이 소개 이임복
현) 세컨드브레인연구소 대표, 인터렉티브북스 대표, 한국경제인협회 MWC 모더레이터, 한국금융연수원 겸임교수, 유튜브 일상 IT 운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