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Re connect
스페셜 리스트

창업의 꿈이 현실이 되다
예비창업자를 위한 지원정책 모아보기

창업의 꿈이 현실이 되다
예비창업자를 위한
지원정책 모아보기

어디선가 뜨겁게 타오르고 있는 창업의 꿈, 이제 현실이 될 차례이다. 막연한 꿈이 아닌, 구체적인 시작을 원하는 예비 창업자라면 주목하자.
2025년 정부 창업지원 사업이 첫 도전에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 준다. 아이디어를 비즈니스로, 열정을 성공으로 바꿀 기회를 원한다면 바로 지금이다.

 편집실

3조 2,940억원 101개 기관 / 429개 사업

3조 2,940억원

101개 기관 / 429개 사업

K-Startup 포털 및 각 기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사업별 별도 공고하니, 신청자격 등을 확인하여 개별 신청해야 한다.
K-STARTUP → 사업소개 → 2025년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2025년 창업 트렌드 분석

지속 가능성, 디지털 전환, 시니어 산업이 뜬다

지속 가능성, 디지털 전환,
시니어 산업이 뜬다

2025년 창업 시장은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과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중심으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민간이 함께하는 창업 지원 정책 역시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해 변화하고 있으며,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지속 가능성_ESG 창업이 필수가 되다
2025년 창업 시장의 핵심 키워드는 지속 가능성이다. 친환경 제품, 탄소중립 서비스, 사회적 가치를 담은 비즈니스 모델이 투자 유치와 사업 성공의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을 도입한 스타트업이 대규모 투자를 받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전통적인 제조업에서도 친환경 소재와 기술을 활용한 혁신이 필수적이며, 소비자들은 이제 단순한 제품 구매를 넘어 가치 소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회적 가치 창출형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으며, 스타트업들이 환경 문제와 사회적 과제 해결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디지털 전환_AI와 빅데이터 기반 창업이 대세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는 2025년 창업 시장을 이끄는 또 하나의 핵심 동력이다. 제조, 유통, 금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스타트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고객 서비스 자동화 등이 각광받고 있다.
정부는 디지털 기반 창업을 장려하기 위해 AI 및 데이터 활용 창업 지원금을 확대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 필요한 R&D 지원 프로그램도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예비창업자들은 기술 중심의 창업 아이템을 발굴하고, 초기 사업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_시니어 산업의 성장
2025년 대한민국은 본격적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12월 23일 기준으로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가 1,024만 4,550명으로 전체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고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올해를 시니어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는 중요한 전환점이자, 혁신적이고 지속적인 비즈니스 생태계가 구축되는 출발점으로 주목한다. 전문가들은 올해 국내 실버 산업 규모를 169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중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헬스케어 및 의료 서비스, 실버 테크, 고령자 주거 및 생활 서비스, 실버 여가 및 교육 서비스, 시니어 맞춤형 금융 서비스 등이 특히 주목받고 있어 창업 성공의 열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사업 살펴보기

사업화

전담 기관 사업명
창업진흥원 ㆍ예비창업패키지 / ’25
ㆍ1월ㆍ초기창업패키지 / ’25
ㆍ1월ㆍ창업도약패키지 / ’25
ㆍ2~3월ㆍ초격차스타트업1000+ 프로젝트 / ’25
ㆍ2월ㆍ민관공동창업자발굴 육성사업 / ’25. 3월
ㆍ통합 창업패키지 지원 / ’25. 2~3월
ㆍ창업중심대학 / ’25. 2~3월
소상공인시장
진흥공단
ㆍ신사업창업 사관학교 / ’25. 1~2
ㆍ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 / ’25. 1~2월
한국콘텐츠
진흥원
ㆍ콘텐츠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 / ’25. 2~3월
ㆍ콘텐츠 액셀러레이터 연계 사업화 지원 / ’25. 2~3월
ㆍ콘텐츠 투자 연계 사업화 지원 / ’25. 1~3월
ㆍ 선도기업 연계 동반성장 지원(콘텐츠 오픈이노베이션) / ’25. 2~3월
한국농업기술
진흥원
ㆍ 농식품 기술창업 엑셀러레이터 육성지원 / ’25. 3~4월
ㆍ농식품 기술평가지원 / 상시
ㆍ농식품 판로지원 / 상시
국방기술진흥
연구소
ㆍ 대전 방산혁신 클러스터 방산진입형 드론특화 창업지원 / ’25. 2월
정보통신산업
진흥원
ㆍ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ICT GROWTH) / ’25. 2월
ㆍK-GLOBAL 엑셀러레이터 / ’25. 2월
ㆍ디지털 혁신기업 글로벌 성장 바우처지원 / ’25. 2월
국민체육
진흥공단
ㆍ 스포츠산업 예비초기창업·창업도약 지원 / ’25. 2~3월
ㆍ 스포츠산업 창업중기(엑셀러레이팅) 지원 / ’25. 2~3월
예술경영지원센터 ㆍ예술기업 성장 지원 / ’25. 2월
한국공예디자인
문화진흥원
ㆍ전통문화 청년창업 육성지원 사업 / ’25. 1~3월
한국관광공사 ㆍ관광벤처사업 공모전 / ’25. 2월
방위사업청 ㆍ국방기술을 활용한 창업경진대회 / ’25. 2월
남북하나재단 ㆍ 기창업자 경영개선자금 지원사업 / ’25. 2~3월, ’25. 8~9월
ㆍ소규모 신규 창업지 지원사업 / ’25. 3월, ’25. 8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ㆍ 데이터 활용 사업화 지원사업(DATA-STARS) / ’25. 3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ㆍ유망 창업기업 투자유치 지원사업 / ’25. 3월

기술개발(R&D)

전담 기관 사업명
중소기업기술
정보진흥원
ㆍ창업성장 기술개발 / ’25. 4월
과학기술사업화
진흥원
ㆍ 첨단과학기술기업 글로벌 협력 스케일업 R&D 지원 / ’25. 2월

시설·공간·보육

전담 기관 사업명
창업진흥원 ㆍ지역창업특화지원 / 수시
ㆍ창조경제혁신센터 / 수시
ㆍ스타트업파크 / 미정
ㆍ딥테크 밸류업 프로그램 / 수시
한국창업보육협회 ㆍ창업보육센터 지원사업 / 수시
창업진흥원,
경기창조경제 혁신센터
ㆍ창업존 / 수시
공간정보산업진흥원,
한국국토정보공사
ㆍ 공간정보 창업지원사업 / ’25. 2월
국토교통화학
기술진흥원
ㆍ 국토교통 창업 및 기업지원 / ’25. 3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ㆍ혁신창업멤버스 / ’25. 2월

창업지원사업에 대해 더 살펴보고 싶다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세부 내용은 ‘K-Startup 포털(k-startup.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K-STARTUP → 사업공고 → 모집중 → 2025년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커리어 맵2025년 제대군인
전직활동 지원
금빛 상담소머릿속 생각,
어떻게 글로 표현할까요?
박지연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