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Re play
돌아본 2024년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제대군인을 위한

2024년 국가보훈부의
의미 있는 발걸음

2024년 국가보훈부는 군 전역 후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제대군인을 위해 제대군인의 사회적 존중과 지원을 위한 법적·제도적 근거 및 범부처 협업을 통한 병역의무 이행에 대한 사회적 우대제도 마련, 제대군인 전직지원시스템을 AI 기반으로 고도화하여 개인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현하는 등 모두의 보훈을 기치로 제복근무자에 대한 존중문화를 통해 튼튼한 국방을 뒷받침하고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보훈체계로 질적 대도약을 추진하였습니다.

2024년 제대군인 지원 추진 성과

 병역의무 이행 사회적 존중을 위한 법적·제도적 정비 

 병역의무 이행 사회적 존중을 위한
법적·제도적 정비 

제대군인법 개정을 통한 의무복무자 지원방안 마련
* 의무복무 제대군인 정의 신설, 취·창업 지원 근거 마련, 근무경력 반영 의무화

청년 제대군인 맞춤형 ‘히어로즈 카드’ 출시(7. 16.)
* IBK기업은행,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협업

제대군인확인서 원스톱 온라인 민원서비스 시행(5. 2.~)
* 직접 방문(취업, 안장 등 적시 제공 곤란) ⇒ 방문 및 온라인 발급(편의성 제고)

병역의무 이행에 대한 보상 지원 부처 간 협업
* 청년 의무복무 장병 청약 가점(혜택) 부여(국토교통부)
* 군 복무 학점 인정제(교육부·국방부)·국민연금 가입 기간 인정(보건복지부) 확대

히어로 카드

 제대군인 전직지원 서비스 개선을 통한 취·창업 강화 

 제대군인 전직지원
서비스 개선을 통한 취·창업 강화 

수출 부진, 금리 인상, 소비와 투자 둔화 등 경기침체 여건 극복
* 제대군인 취·창업 지원 목표 6,975명, 실적 7,078명(101.5% / 11월 말 기준)

2024년 국민과 함께하는 제대군인 취 · 창업박람회 개최(9. 10.)
* 취업 98개 기업·기관, 창업 9개 기업, 제대군인 등 5천여 명 참가, 취업 65명

전직지원금을 구직급여의 50% 수준으로 단계적 인상(’27년까지)
* 장기복무: (’23년) 70만 원 → (’24년) 77만 원 → (’25년) 81만 원 → (’27년) 99만 원
* 중기복무: (’23년) 50만 원 → (’24년) 55만 원 → (’25년) 58만 원 → (’27년) 99만 원

AI 지능형 전직지원시스템 구축, 개인 맞춤형 사회복귀 서비스
* 24시간 365일 챗봇을 통한 상담 제공

 제대군인 능력과 적성에 맞는 성공적인 사회 복귀 기반 조성 

 제대군인 능력과 적성에 맞는
성공적인 사회 복귀 기반 조성 

‘1社 1제대군인 고용’사업 및 적합한 양질의 일자리 발굴 · 확보
* 제대군인 미채용기업 선정(4,500개)·협력, 223개 기업 285명 고용(10월 말 기준)

인센티브 확대를 통한 ‘제대군인 고용우수기업 인증제’ 활성화
* 2024년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20개 기업 신규 인증(누계 95개 기업)
* 관세조사 유예, 여신지원 금리 우대 등 인센티브 부여

일자리 트렌드 변화에 따른 다양한 교육 지원으로 취업역량 강화
* AI 등 Digital Transformation(디지털전환) 과정 150여 개 및 스마트팜 과정 30여 개 신설
* 전문교육기관 위탁교육 47개 과정(인테리어, 타일 기능사, 드론, 소방안전 등)

보훈부-국방부 간 제대군인 권익증진 및 복지정책 강화를 위한 전략적 협업
* 전역지원플랫폼(국방부)-제대군인 전직지원시스템(보훈부) 연동 추진, 사용자 편의 제고
* 제대군인 고용 우수기업·기관 우대지원제도 발굴 및 지원방안 협력

 영웅을 존경하고 예우하는 감사문화 확산 

 영웅을 존경하고
예우하는 감사문화 확산 

제복근무자를 존경 · 예우하는 대국민 감사캠페인 연중 전개
* ‘또 하나의 국가대표’ 이미지 브랜딩 및 공익광고 제작·송출

 제복근무자에 대한 국민 인식 긍정적 변화 

 제복근무자에 대한
국민 인식 긍정적 변화 

제대군인의 헌신에 감사, 국민과 함께 응원하는 제대군인주간 운영
* 현장 세리머니(10. 8.) 및 전시·응원·체험 · 홍보존 운영(10. 8.~10. 9.) 등

국민적 공감과 예우를 다하는 참전기념행사 구현
* 국민과 함께 서해수호 55영웅 기억(서해수호 유족의 편지 낭독, 55용사 국민롤콜)

* 대구에서 6·25전쟁 기념행사 최초 개최, 지방 거주 참전유공자 예우 강화
* 유엔군 참전의 날 행사, 유엔참전용사의 헌신·자유·평화의 고귀한 가치 전달

잊혀지는 호국영웅이 없도록 국민이 즐겨 찾는 장소에 6·25전쟁영웅 히어로드 조형물 설치로 일상생활형 보훈문화 조성
* 완료(7개소) : 문경, 인천, 파주, 창녕, 부산, 충주, 춘천 / 진행(3개소): 상주, 칠곡, 오산

월남전 참전 60주년 계기 참전유공자에게 제복 증정, 국민적 존경심과 감사 표명

국가보훈부 장관 강정애2025 신년사
시작하는 2025년2025년 제대군인
지원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