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W TO START
  • HOW TO WORK
  • HOW TO LIVE
미디어 속 직업 읽기

수산자원의 미래를 개척한다

영화 <자산어보>와
수산양식기사

수많은 물고기와 해조류는 바다에서 그냥 자라지 않는다.
우리가 먹고 사용하는 수산자원은 적절한 환경과 심혈을 기울인 양식을 통해 생산되는 것이다. 이 수산자원은 차세대 먹거리이자 무궁무진한 자원의 보고로 불리고 있기에 수산자원의 미래를 개척하는 수산양식기사의 전망 또한 밝다.

정리 · 편집실

영화 <자산어보>

  • 2019
  • 출연 설경구, 변요한, 이정은, 민도희, 차순배 등

영화 <자산어보>는 정약용의 형인 정약전이 저술한 해양생물학·수산학 서적인 『자산어보』를 소재로 한 영화다. 실제로 정조사후 순조가 즉위한 뒤 수렴청정을 하던 정순왕후에 의해 정약용, 정약전, 정약종 형제는 서학과 관련된 신유박해에 따라 유배를 떠나게 된다. 이때 정약전은 흑산도에서 유배살이를 하며 『자산어보』를 집필한다. 이 시기를 작가적인 상상력을 가미한 픽션으로 영화는 전개된다.
흑산도에 도착한 정약전은 가거댁이라는 과부의 집에 머물면서 백성들을 위한 어류도감을 쓰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마을 청년인 장창대에게 글을 가르치는 대신 물고기에 대한 지식을 배우기로 한다. 여러 사건을 겪으며 정약전은 창대의 도움으로 어류도감을 집필해 나가고, 이를 통해 예전에는 그저 버려졌던 아귀같은 물고기의 쓰임을 흑산도 주민들이 알게 되어 구휼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실제로도 『자산어보』는 정약전이 19세기 초 흑산도 연안에 서식했던 한국의 토종어류와 갑각류, 조개류에 대한 정보를 명칭, 분토, 생태, 유용성을 망라해 상세히 서술하고 있어 현재까지도 많은 학자들이 참고하고 있는 어류도감으로 학문적으로도 역사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수산양식기사란?

인구 증대에 따라 수산물 소비량이 급증하면서 더불어 양식 기술이 발달하게 된다. 이에 다양한 양식 환경과 양식 조건에 따라 적합한 시설을 제작하거나 관련된 업무를 수행할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 또한 늘어났다. 수산양식기사는 국내외 어종의 이식 사육과 신품종 개발, 인공 종묘 생산기술 확대, 사료 개발, 고밀도 양식 기술 확대를 통해 어류뿐만 아니라 해조류에 이르기까지 번식과 생산성을 높여 높아져 가는 수산자원에 대한 니즈를 충족하는 전문기술 인력이다.

수산양식기사가 하는 일은?

양식 조건에 적합한 수산 생물을 선정하고 해당 생물에 적절한 시설과 환경을 조성하여 양식하는 업무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정한 수면에서 수질을 조사하여 양식하고자 하는 수산생물의 종류에 적합한 수질 환경을 조성하고 인위적으로 사육, 수확하는 업무-모체가 되는 생물로부터 알을 받아 수정시킨 후 부화시키거나 해조류의 종묘를 배양하고 옮겨 심어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수산양식기사의 진로는?

  • 연근해 및 원양어업, 수산협동조합, 수산회사, 수산물 가공업체, 식품가공업체, 냉동냉장업체
  • 연근해 양식장과 내수면 양식장의 수산기술자
  • 해양자원 연구기관 또는 행정기관의 연구원
  • 수산관련 공무원
  • 양식 자영업

수산양식기사가 되기 위한 준비는?

보통 수산양식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자격은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로 나뉜다. 수산양식기능사의 경우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 응시 자격에 큰 제한은 없다. 그러나 수산양식산업기사 이상부터는 동일 분야에서 국내외 자격을 가지고 있거나 기능사, 산업기사자격 취득에 해당 분야경력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대학의 양식학과, 수산증식과, 해양자원육성공학과, 수족병리학과, 수산자원학과, 자원육성학과, 수산생명의학과, 해양생명양식학과, 해양생명개발학과 등 관련학과를 졸업한 사람만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수산양식기사에게 요구되는 적성은?

수산양식기사는 생물과 그 환경을 다루는 일이다. 무엇보다. 생물 특히 수산 생물에 대한 학문적 지식과 함께 환경과 생물의 성장 환경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한다. 또한 직접적으로 수정과 인공부화, 종묘 배양 및 양식 등을 담당하는 경우 세밀하고 섬세한 연구와 실험을 진행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세, 그리고 체력이 요구된다. 물론 관련 연구를 위해서는 해외 자료와 연구 등을 지속적으로 리서치해야 하므로 영어 등의 외국어 실력도 함께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