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속 직업 읽기

전시의 꽃을 피우다

드라마
<그녀의 사생활>과
큐레이터

얼마 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실시한 직무 만족도에서 ‘전반적 직무 만족도’ 영역 1위를 차지한 직업으로 큐레이터 및 문화재 보존원이 꼽혔다. 우아한 백조지만 실은 육체적으로 고되고 힘들어 미술계에서 3D 업종으로도 꼽히는 큐레이터를 소개한다.

정리 · 편집실

드라마 <그녀의 사생활>

  • 한국
  • 2019
  • 출연 박민영, 김재욱, 안보현, 박진주 등

드라마 <그녀의 사생활>은 <누나팬닷컴>이라는 웹소설과 웹툰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로 한 미술관의 큐레이터인 주인공 성덕미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유명한 아이돌을 두루 거쳐 현재 한 아이돌을 덕질하고 있는 그녀가 자신이 일하고 있는 미술관에 새로 부임한 관장과 얽히면서 생겨나는 로맨스가 이 드라마의 주된 줄거리다. 성덕미라는 인물은 대외적으로는 똑 부러지게 전시를 기획하고 때로는 육체적으로 힘든 일도 마다하지 않을 정도로 자신의 일에 열정적인 큐레이터지만, 사생활에서는 자신이 덕질하는 아이돌을 향한 사랑과 열정을 모두 뿜어내는 본투비 덕후다. 반면, 새 관장인 라이언 골드는 성덕미와 정반대로 차갑고 까칠한 인물. 누구보다 열정으로 가득한 성덕미와 누구보다 차가운 라이언 골드가 만나 서로의 온도와 색이 입혀지는 과정을 중심으로, 배경이 미술관인 만큼 우리가 겉으로만 보는 화려하고 멋진 큐레이터의 모습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 힘들고 고된 뒷모습까지 큐레이터의 다양한 직업적 면모를 볼 수 있는 재미있는 작품이다.

큐레이터란?

우리말로는 학 예사라고도 하 는 큐레이터(Curator)는 보살피다, 관리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큐라(cura, 영어의 care)에서 유래한 단어로 처음에는 감독인, 관리인을 뜻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의 관리자라는 뜻으로 발전하였다. 단순히 관리자가 아닌, 미술관이나 박물관의 자료에 관해 관리하고 책임지는 사람을 뜻한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현대의 큐레이터는 활동하고 있는 분야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연구를 담당하거나 교육 및 홍보 담당, 전시 관계의 업무를 담당하는 등 세분화되어 있다. 1984년 제정된 우리나라의 박물관법 제5조 1항은 큐레이터 제도의 의무적인 법적 적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박물관에는 박물관 자료의 수집, 보존, 관리, 전시, 조사, 연구, 기타 이와 관련되는 전문적인 사항을 담당하는 직원을 두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큐레이터가 하는 일은?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전시회를 기획하거나 작품을 수집, 관리한다. 미술관과 박물관의 업무가 다르게 나뉘는데 미술관 큐레이터는 미술 작품 전시를 기획하며, 이를 위해 작품을 선정하고 수집 후, 미술관의 공간과 작품의 수량, 주제를 고려해 전시의 방법과 형태 등을 결정한다. 박물관 큐레이터는 박물관에 보관 중인 각종 실물, 표본, 사료, 문헌 등을 수집하고 보존하며 이것들을 토대로 전시회를 기획하고 개최한다. 최근에는 IT 분야의 발달로 디지털 큐레이터라는 분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큐레이터 진로와 전망은?

  • 국공립 박물관 및 미술관, 대학 박물관 등 학예연구사 및 학예연구관으로 근무
  • 사립 박물관 및 미술관 등 큐레이터로 근무
  • 상업화랑이나 독립큐레이터로 활동
  • 보존과학업체, 지방의 문화재연구소 등 문화재 보존원 근무
  • 관련 석 · 박사 학위 취득 후 대학교수로 진출

큐레이터 관련 학과와 자격증은?

  • 학과 : 고고학, 사학, 미술사학, 예술학, 민속학, 인류학, 동양화, 서양화, 조각, 도예 등 미술, 예술 관련 학과(학사 또는 석사 이상), 큐레이터학과, 예술대학원이나 미술대학원의 예술기획 전공, 예술경영학과, 박물관학과, 미술관학과, 문화관리학과 등
  • 자격증 : 국가지정문화재의 보수 및 수리 업무를 위해서는 문화재청에서 시행하는 문화재수리기술자 및 기능자 자격 취득

큐레이터에게 요구되는 적성은?

다양한 문화권의 생활양식, 언어, 예술 등 문화 전반에 대한 흥미가 있어야 하며,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소장품 및 전시품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고 개최할 수 있는 풍부한 아이디어와 함께 창의력, 기획력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전시 개최는 비즈니스적인 감각과 외국어 능력이 필요하다. 문화재 보존원의 경우 역사에 흥미가 있고 유적, 유물에 대한 역사적 지식과 함께 보존을 위한 약물 처리 등 화학적인 지식도 필요하고, 세심하고 정확한 보존과 복원을 위해서는 섬세한 손재주도 요구된다. 또 한 가지 중요한 자질은 바로 체력이다. 화려한 모습과 달리 힘과 체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고, 국내외로 잦은 출장이 있는 경우도 많아 체력관리는 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