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2020년과 2021년에는 일을 하는 방식(method)이 바뀌었다면, 위드 코로나 시대로 접어든 2022년에는 MZ세대가 본격적으로 취업 시장의 주축이 되면서 일의 경험(experience)이 중요해지고 있다. 2022년 취업 시장의 흐름을 짚어보고 나만의 취업 전략을 세워보자.
언택트? 이제는 메타버스!
코로나19로 지난 2년간 취업시장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가 아마 언택트일 것이다. 면접 형식에 다양한 언택트 방식이 적용된 것은 물론이고, 산업 환경과 시장 변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한 것이다. 그리고 이로 인해 메타버스라는 다차원 가상세계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면서 대세로 떠올랐다.
취업과 메타버스 연계하기
SNS와 유튜브를 활용하던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에 메타버스가 중요한 매체로 떠올랐다. 기업들의 상품이나 서비스, 브랜드를 가상세계인 메타버스에서 선보이고, 메타버스 내 유저들에게 다양한 체험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기업들이 메타버스를 주목하는 이유는 비용은 적게 들고, 시간과 공간의 한계 없이 다양한 층위의 고객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현재 기업들이 메타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마케팅적인 측면과 산업적인 측면에서 흐름을 분석하고 있어야 한다. 자기소개서에 내가 지원하는 기업이나 직군, 직무와 연결 지어 메타버스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를 키워드로 녹여낸다.
채용 시장을 바꾼 MZ세대
이미 2021년 하반기 국내외 채용 시장에서는 MZ세대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MZ세대를 위한 채용 제도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흔히 젊은 세대라고 표현되는 MZ 세대는 그러나 그들만의 고유한 특징으로 인해 최신 트렌드를 이끄는 주인공이면서 소비시장을 좌우하는 세대로 떠올랐다.
취업시장에서 ‘나’를 어필하기
개인의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이에 따라 해당 기업이나 직무를 통해 어떠한 경험과 포트폴리오를 쌓겠다는 명확한 비전을 제시한다. 또한 SNS를 활용한 셀프 브랜딩을 평소에 쌓아두고, 기업들의 SNS 채널을 통해 지원하고자 하는 직무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코로나19 이후 기업들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채용 시 경력과 경험을 중요시한다. 트렌드를 따르고 반영하는 것만큼 오히려 MZ세대가 따라가기 어려운 자신만의 경험과 경력을 키워드로 정리해서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ESG 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의 영문 머리글자를 합한 ESG는 한마디로 기업의 비재무적인 요소를 통칭한다. 즉, 기업의 지속가능성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자리매김하게 되어 세금이나 제도적인 혜택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기업의 ESG 경영 분석을 적용하기
메타버스가 기업의 운영과 마케팅적인 측면에서 중요하다면 ESG 경영은 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와 가치적인 측면, 그리고 혜택에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내가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미래와 가치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ESG 경영전략과 추진체계를 확인해야 한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은 매년 900여 개 상장회사를 대상으로 ESG 평가를 하는데 등급은 S(탁월)부터 D(매우 취약)까지 7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이 평가 정보를 토대로 내가 지원할 기업이나 직무에 ESG 중 어떤 키워드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관심을 가지고 자기소개서에 녹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