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여기 가게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경주 황리단길

경주하면 무엇부터 생각이 날까? 크고 작은 여러 대릉과 고분들 사이에 우뚝 서 있는 첨성대나 토함산에 위치한 불국사와 석굴암, 아니면 보문호 주변에 위치한 다양한 관광시설이 제일 먼저 생각나던 때도 있었다. 하지만 요즘 경주를 찾는 이들의 1순위는 바로 황리단길이다.

글 · 양샘   자료 · 배리삼릉공원, 디스모먼트

전통과 현대 그 어디쯤

황리단길은 사실 요즘 흔히 유행하듯이 이태원의 경리단길과 경주 황남동을 합친 말이다. 실제 있었던 명칭은 아니고 경주 시내에 있는 황남동 포석로 일대의 골목길이 황남 큰길로 불리던 것이 어느새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상권이 형성되며 자연스럽게 황리단길이라는 명칭이 붙은 것이다. 황리단길의 특색이라 하면 60~70년대의 낡은 건물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옛 정취가 그대로 느껴지면서도 그 골목 사이 사이마다 전통과 현대가 만나 경주만의 느낌이 물씬 풍기는 특색있는 곳들이 많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제는 경주에 갈 때면 당연히 들러야 하는 필수 코스 중 하나가 되었다. 물론 어느 도시를 가든 사람들이 북적이는 상권들은 많다. 황리단길 역시 관광지답게 다양한 먹거리부터 관광 상품을 파는 곳까지 온갖 종류의 상점들이 즐비하지만 이곳만의 특색이라고 한다면, 경주만의 전통과 역사가 현대의 경주를 만나 황리단길에서만 볼 수 있는 것들이 많다는 점이랄까. 그래서 경주여야 하고, 황리단길이어야 하는 걸지도 모른다.

배리삼릉공원

경주의 숨겨진 멋을 전하다

유난히도 황리단길에는 경주의 특색을 녹여내고자 노력하는 곳이 많다. 이름만 다를 뿐 비슷한 형식의 기념품을 파는 다른 곳과 달리 경주를 자신만의 디자인 감각이나 아이디어로 보여주는 곳들이 즐비하다. ‘배리삼릉공원’은 그 이름부터 경주의 숨은 멋을 담았다. 경주 남산 초입에 오래전 ‘배리’라고 불리던 곳이 있다. 지금은 배동이라 불리는 이곳에 삼릉이 있는데 울창한 소나무로 둘러쌓인 경관이 아주 멋진 곳으로 경주 토박이들만 아는 곳이다. 배리삼릉공원은 그곳을 모티브로 삼은 이름을 내걸고 경주 곳곳의 숨겨진 이야기들을 편하게 전하고자 한다. 단순히 경주의 상징물들을 찍어내듯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트렌드에 맞는 소재와 방식을 활용하여 가지고 싶은 것을 상품으로 만든다. 선물로 받았을 때 버리기 애매한 애물단지가 아닌, 경주를 기억하면서 꼭 사용해보고 싶은 그런 것들 말이다. 한지로 한 땀 한 땀 만든 경주 드림캐처나 경주 일러스트 포스트잇, 늘 들고 다닐 수 있는 손수건처럼 배리삼릉공원에 가면 그 계절 경주를 떠올릴 수 있는 것들을 만날 수 있다.

디스모먼트

전통이 힙을 만나는 유일한 여행

‘디스모먼트’ 역시 경주를 색다르게 기억하고자 한다면 한 번쯤 찾아봐야 하는 곳이다. 이름 그대로 경주에서 마주친 순간이 영원히 계속되길 바란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이곳은 어디에서도 못 본, 무엇보다 힙한 경주 기념품을 선보이는 것을 모토로 하고 있다. 이곳은 경주의 다양한 상징들을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재해석해 선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나무로 만든 마그넷으로 LED 캔들을 놓으면 무드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첨성대와 마트료시카가 만난 첨트료시카나 쨍한 형광색 첨성대 키링 같은 것들이 사람들을 반긴다.

이곳뿐만 아니라 경주 여행의 기억을 향으로 재현해 선보이고 있는 ‘라향’, 다보탑이 있는 십원짜리 동전 모양의 먹거리 ‘십원빵’을 비롯해 60년대 분위기가 고스란히 담긴 흑백 사진을 셀프로 찍을 수 있는 ‘대릉원사진관’, 한옥의 정취를 느끼며 경주의 고즈넉한 밤을 만끽할 수 있는 숙소인 ‘소소한옥’까지. 경주만의 전통과 역사가 21세기를 만나 재미있는 여행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곳, 황리단길로 걸음해 보는 것은 어떨까.